<aside> 💡 플랫폼에서 거래 중인 메이커 거래처의 경우 정보 유출 및 악용 사례가 있어 오픈하지 못하는 점 이해를 부탁드립니다. 다만, 구매를 원하시는 상품 정보를 알려주시면 구매 가능여부를 확인해 드리고 있습니다.

</aside>

메이커란?

일본에서는 상품을 직접 제조하는 업체를 메이커라고 부릅니다.

도매와 메이커의 차이

가격대 거래단위 성향 회원제 가격협상
메이커 소비자가 대비 약 50% 가격대
예) 소비자가 1000엔
 메이커 거래가격 500엔 | 박스단위

상품별 주문단위 금액 기준 단위 등 | 해외 거래처에 폐쇄적인 곳이 많음 | 거래 등록 절차가 필요 | 여지가 있음 | | 도매 | 소비자가 대비 약 60% 가격대 예) 소비자가 1000엔 도매 거래가격 600엔 | 1개도 가능 | 회원 가입 후 이용 가능한 곳이 많음 | 회원 가입이 필요 | 여지가 적음 |

대략적인 일본의 유통 구조

  1. 메이커 → 총판 → 1차 도매 → 도매 → 소매
  2. 메이커 → 도매 → 소매
  3. 메이커 → 소매

<aside> 💡 일본은 상품을 생산하여 판매할 때 소비자가를 정가로 정하는 경우가 많으면 소매 판매자들은 해당 가격을 잘 준수하는 편입니다. 예를 들어 소비자가 1,000엔 상품의 유통 구조를 거꾸로 올라가 보면 소비자가 1,000엔 → 도매가 600엔 → 메이커(제조) 500엔 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. 조금 더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구매를 하기 위해서는 메이커와 거래를 해야 하는 중요한 이유입니다.

</aside>


구매요청 하기

  1. 상품 정보와 수량을 기재하여 요청하기

    1. 상품 정보

      1. JAN코드(바코드번호): 가장 확실한 상품 정보로 한개의 상품에 한개의 JAN코드가 매칭 됩니다.
      2. 품번: 메이커에서 관리하는 상품번호로 확실한 상품 정보 중 하나입니다.
      3. URL: 해당 상품을 판매중인 사이트 주소, 해당 상품의 메이커 홈페이지 상품 페이지도 확실한 상품 정보 중 하나입니다.
      4. 이미지: 이미지 한장만으로는 상품을 찾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
      5. 한국에서 판매중인 사이트: 이미지와 같이 사진만 확인이 가능한 경우 못 찾을 수 있습니다.
    2. 수량

      1. 구매가 가능하다면 필요한 수량을 꼭 기재해 주세요. 그렇지 않은 경우 업무 처리가 많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      2. 수량에 따른 가격차이는 거의 없습니다.

      <aside> 💡 Q: 구매 가격이 얼마 인지도 모르는데 어떻게 수량을 결정하나요? A: 정보와 수량으로 구매요청을 주실때 가격 확인 후 최종 결정이라고 멘트를 주시면 됩니다. 수량을 요청하는 것은 도매, 메이커와 업무 시 수량 정보가 없으면 업무처리가 늦어지기 때문입니다.

      참고로! 소비자가 대비 60% 가격이라면 몇개를 사겠다 정도는 생각하시면 좋습니다.

      </aside>

  2. 카탈로그를 이용하여 요청하기

    1. 카탈로그에 기재된 상품정보와 수량을 기재하여 요청.
    2. 카탈로그 이미지를 캡쳐하여 수량을 기재하여 요청.